감성돔낚시의 수심 측정 테크닉
감성돔 낚시는 크게 반유동과 전유동낚시로 나눌 수 있다. 반유동과 전유동낚시는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익숙한
포인트와 수심 층을 정확히 알고 있는 곳에서는 반유동낚시가 전유동낚시보다 유리하게 작용될 경우가 많다.
감성돔낚시에서는 수심을 파악하는
것이 기본이 되고 아주 중요한 기술이지만, 중급자 이상의 꾼들도 현장에서 수심을 파악하는 테크닉이 부족하여 단순히 찌밑 수심을 조금씩 내려가다
밑걸림이 발생하면 그곳이 바닥층이라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래서 이 수심 측정 테크닉은 아주 중요하기에 반드시 숙지하면 조과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민물낚시의 유동채비와 중층낚시 찌 맞춤을 잘 알고 있다면 더욱 이해가 빠를 것이다.
● 간단한 수심 잡는 테크닉
수심을 잡는다는 것은 정확하게 고기의 유영층에 채비를 세트하는 것을 말한다. 감성돔낚시의 경우 바닥을 노리는 것이 수심을 잡는 것이 된다. 즉 수심을 잡는 것은 = 바닥의 수심층을 아는 것이 된다. 여기서 바닥층의 수심을 측정해 보자
1. 우선 수심 측정용 고무가 달린 봉돌을 준비하자(간단히 만들 수 있다). 중층낚시 전문점에서 비슷한 봉돌을
판매하고 있지만, 자신이 몇 개 여분까지 만들어 사용하면 더욱 좋다. 물속여에 걸려 분실해도 대비할 수 있다.
0. 비교적 수심이 낮고
조류의 흐름이 약한 곳에서는 2호 봉돌을 사용
0. 비교적 깊은 수심과 조류의 흐름이 빠른 곳에서는 3호 봉돌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 막대찌를 준비한다. 3발 이상의 포인트에서는 막대찌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찌멈춤 면사를 적당한 깊이로 잡고 수심측정용 봉돌은 나중에 부착토록 한다. 아래 그림을 참고로 해서 고무가 달린 봉돌의 고무에 바늘을 걸도록 한다.
3. 그대로 노리는 포인트에 봉돌을 던져 본다. 봉돌이 착수한 순간, 낚시대를 2-3회 들어올려 원줄을 내 보낸다. 초릿대를 물속에 넣으면 간단히 줄이 나간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채비가 점점 자신의 앞으로 밀려오게 된다. 이 것은 조금 상급 기술에 속하지만 응용할 수 있어 꼭 습득하면 좋다.
4. 봉돌이 점점 잠겨 가면 찌의 부력이 봉돌의 무게 때문에 찌도 물 속으로 끌려가게 된다.
즉 찌밑의 채비가
수심보다 낮은 것이 된다. 잘 관찰하여 찌가 어느 정도 잠기는지 대충으로 확인하고 채비를 올려 눈으로 확인한 만큼 찌멈춤 매듭을 올려 재차
채비를 던져 본다. 이것을 반복해서 찌밑을 수심에 접근시켜 가는 것이다. 어려울 것 같지만 습관이 되면 2-3회에 맞출 수 있다.
5. 그러던 중에 찌가 바로 서는 경우가 있다. 찌 밑 채비와 수심이 맞아 즉 바른 수심을 측정한 것이 된다. 이
때 찌멈춤 매듭에서 바늘까지가 그 포인트의 수심이 된다.
반대로 찌가 떠 있는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넘어 질 때가 있다. 이것은 찌밑
수심이 낮다는 것을 알려준다. 채비를 올려 조금 찌멈춤 매듭을 내려 조정한다.
6. 요령을 알면 발밑과 포인트의 이쪽 저쪽의 수심을 측정해 본다. 그러면 포인트 전반의 수심층을 파악할 수 있다.
● 낚시에 응용
수심측정은, 수심을 알고, 해저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이보다 중요한 것은 정확하게 고기가 노는 수심을 알기 위해서이다. 대체적으로 고수가 되면 그다지 수심 측정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자신의 경험으로 많은 포인트를 알고 있는 것 뿐 아니라 처음 내린 포인트에서도 한눈에 어느 정도의 바다 속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노리는 수심을 공략하는 기술이 습득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급이하는 반드시 수심 측정이 필요하다. 조과는 반드시 좋아질 것이다.
1. 정확하게 수심을 측정했다면 찌 멈춤 매듭 바로 아래에 또 하나의 찌 멈춤 매듭을 만든다(야마모토 찌 매듭법 참조).
2. 밑 걸림이 심하다면 아래 찌 매듭을 조금 내려본다. 여기서 처음의 찌 멈춤 매듭이 도움을 준다. 정확하게 바닥에서 어느 정도 채비를 부상시켰는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된다. 아래 찌 멈춤 매듭을 1발 내리면 정확히 바닥에서 미끼는 1발 떠 있게 된다. 밑밥으로 고기가 부상했다고 판단되면 바닥에서 1발 혹은 2발을 올려 본다. 항상 바닥이 기준이 되고 이것이 고기가 노는 수심층이 된다.
● 감성돔낚시는 바닥부터를 먼저
생각하라!
이것으로 수심 측정 요령을 알게 되었을 것이지만, 보통 감성돔 찌낚시에서는 해면에서 몇 발로 낚시를 할까라고
생각하는 것 보다, 바닥에서 몇 발로라고 낚시할까를 생각하는 것이 감성돔의 생태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생각방법이 아닐까 한다. 이 발상을
습관되도록 하면 감성돔낚시에 보다 쉽게 접근되리라 생각한다.
우리회원님들 감성돔낚시에서 수심측정은 정말 중요합니다. 꼭 참고하시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시기 바랍니다.
낙조의 필드 곰돌감시였습니다
'감성돔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바위 낚시의 포인트 선정 (0) | 2006.04.21 |
---|---|
n조법에 대하여 (0) | 2006.04.21 |
찌밑 수심을 결정하는 방법 (0) | 2006.04.21 |
초중급자를 위한 감성돔 낚시(벵에돔낚시와 비교) (0) | 2006.04.21 |
조황을 판단하는 요소에 대하여 (0) | 2006.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