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력 반유동 잠길낚시의 이해 고부력 반유동 잠길낚시의 이해 1. 고부력 반유동 잠길낚시의 사용시기 - 9월에서 10월 사이에 10-15m 수심의 포인트에서 감성돔, 참돔을 동시에 노릴 때 – 이 시기는 대상어의 수심이 일정하지 않고 2-4m정도는 유동적이기에 사용한다. - 바다 상황이 급변하여 조류가 빨라지고 바람이 강.. 조법 2016.09.21
감성돔낚시 중급이상으로 가는 길 (전층조법을 기준으로) 감성돔낚시 중급이상으로 가는 길...(전층조법을 기준으로) 초, 중급자가 자신의 실력향상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 경험을 투자 해야 하지만, 좋은 스승과 지침이 있다면 좀더 빠른 시간 내에 이것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중급이상으로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먼 저 스승을 모.. 조법 2011.06.07
전층채비와 반유동채비의 사용시기에 대하여 요즘 우리회원님들도 전층채비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것 같다. 하지만 전층채비를 사용함에 있어 시기, 즉 어느 경우에 전층채비를 사용하고 어느경우 에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은가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것 같았다. 그 래서 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니 회원님들 참고가 되면 좋겠습니 다. 전층채비.. 조법 2011.06.07
전유동낚시의 약점 극복(그림 작업중) 전유동낚시의 약점 극복 전유동낚시는 장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장점은 장점대로 살리고, 약점은 잘 극복해야 좋은 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는 전유동낚시의 약점을 극복하는 기술적 측면을 소개한다. 1. 미끼를 내리면서 흘리는 기술 * 채비에 부착하는 용품을 활용하라 - 미끼와 바늘의 무게, .. 조법 2008.09.26
전유동 낚시의 바람과 파도의 대책 7. 바람과 파도의 대책 바람은 대기를 움직여 해수면의 온도에 영향을 주어 대상어의 활성도에 영향을 준다. 또 파도는 바다의 중요한 움직임으로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이다. 적당한 바람과 파도는 괜찮지만, 강풍이나 큰 파도는 갯바위 꾼들에게는 고민꺼리가 되고, 특히 채비와 밑밥을 자연스럽게 .. 조법 2008.02.20
전유동낚시의 자리선택, 조류판별법 5. 전유동낚시의 자리 선택 갯바위 낚시에 있어서 낚시 자리의 선택은 자유롭게 될 수 없지만, 한정된 상황 중에서도 유리한 포인트나 공격법을 선정함으로서 더욱 좋은 조황을 맛보는 경우가 많다. 파도와 너울 그리고 포말, 조류 및 바람 등의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연환경의 요인을 재빨리 분석하고 .. 조법 2008.02.19
전유동낚시에 있어서 적합한 조건 3. 전유동낚시에 있어서 적합한 조건 전유동조법은 기본적으로 찌의 이동을 제약하지 않고 완전 자유로 사용한다. 봉돌도 가급적부착하지 않고 밑밥의 침하속도에 따라 밑밥에 동조시키면서 미끼와 채비를 흘리는 것이다. 이러면 전유동조법이 완벽한 낚시법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봉돌을 사용하지 .. 조법 2008.02.18
전유동낚시 1(전유동이란?, 메카니즘,유효성) 회원님들의 문의 및 메일을 통하여 전유동낚시에 대해 알고 싶다는 내용을 자주 접하곤 한다. 그래서 초심 혹은 중급인 회원님들을 위해 전유동낚시란?, 채비, 포인트 설정, 바람 및 파도의 대책, 잡어대책, 밑밥전략, 바늘과의 관계, 밑줄과 원줄과의 관계 등 전유동낚시에 모든 것을 연재하고자 한다... 조법 2008.02.16
전층조법의 이해 전층조법의 이해(종합편) 1. 전층조법의 탄생기 전층조법이란 일본의 기자쿠라사에서 1998년에 누구라도 쉽게 고기을 잡을 수 있도록 표층부터 바닥층까지 모든 수심층을 공략하는 Kz GTR찌가 출시되면서 시작된 기법으로 "GTR"이란 일본 오도열도(일본발음: Gotorettou)의 약자로 즉 개발자 이와나카 가즈히.. 조법 2006.04.26
전층조법 전층조법 0. 전층조법의 시작 낚시인이 출조하여 한번도 내려 본 적이 없는 갯바위에서 포인트의 예측은 어렵다. 어느정도의 수심인지? 찌밑은 몇 발로 시작하면 좋은지?... 대충의 감으로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확실한 수심을 찾기 위해 온갖 수심측정 방법을 동원하여 수심을 측정한 후 자신이 노리.. 조법 2006.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