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돔과 벵에돔의 시력은?
이 내용은 일본신문에 소개된 내용인데 우리 회원님들의 낚시에 참고가 되도록 올립니다.
감성돔이나 벵에돔의 시력과 우리들 눈의 구조의 큰 차이점은 수정체의 맞추는 조절에 있다. 우리들의 눈의 맞춤 조절은 수정체의 굴곡을 이용하지만, 감성돔이나 벵에돔의 경우는 수정체가 이동한다. 이 구조는 카메라와 흡사하다. 카메라는 렌즈가 움직임에 의해 맞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기의 눈을 카메라에 비유해서 그들의 시력에 대하여, 설명하면 카메라로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 중요한 것은 렌즈, 맞춤, 필림, 프린트 기술일 것이다. 이것을 고기의 눈에 비유하면....
1)렌즈 성능=수정체 성능 이것은 매우 우수하다.
수정체는 고기를 구웠을 때 하얗게 되는 둥근 부분이지만 신선한 고기에서 이 수정체를 체취하면 그 투명도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투명도에서 보면 시력 1.0을 확보할 수 있는 성능이다.
2)맞추는 조절
감성돔이나 벵에돔은 아주 먼곳부터 몸의 반 정도 크기까지 맞출 수 있다.
3)필림= 고기 눈에는 이 필림에 결점이 있다.
망막의 시력 세포군에 상당한다. 고기의 경우 이 시력세포의 밀도가 우리들 보다 낮다. 디지털 카메라에 비유하면 화소가 떨어진다.
4)프린트 기술= 얻어진 영상을 뇌에서 처리하는 행위과정에 해당한다.
그래서 망막의 시력 세포 밀도에서 우리들의 시력을 계산해 보면 2.1 - 3.1 정도가 되어 실측 시력과 거의 같은 수치가 나온다. 따라서 시력 세포 밀도에서 구한 감성돔이나 벵에돔의 시력은 감성돔 0.14, 벵에돔 0.13이 된다. 그러니까 감성돔이나 벵에돔의 시력은 우리들보다 상당히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어종의 시력은 0.1, - 0.5범위이기에 감성돔과 벵에돔의 시력이 어류 중에서 특히 우수한 것은 아니다.
이상의 기사내용으로 볼 때 감성돔과 벵에돔은 밑줄의 영향은 거의 없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낚시 상황에서는 밑줄의 영향이 나타난다.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약 10/8정도로 가는 밑줄에서 높은 입질의 수치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밑줄의 굵기의 영향보다 가는 밑줄이 보다 자연스럽게 조류를 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리고 여기서 바닷물의 탁도에 대해서도 한번 생각해야 한다. 감성돔과 벵에돔의 시력은 좋은 편이 아니기에 탁도가 어두운곳 보다 밝은곳이 좋을 것이다. 우리 회원님 낚시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낙조의 필드 곰돌감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