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줄 관리
상급자와 동일한 장소에서 같은 채비, 수심, 밑밥, 미끼를 사용해도 “조과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주위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문의를 많이 해 온다.
이것은 여러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이 원줄 관리에 따른 채비흘림이다.
릴 찌낚시에서는 조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반드시 원줄이 그림1과 같이 날리게 된다. 이렇게 원줄이 날리면 채비가 뜨게 되고, 또한 채비의 정렬이 어렵게 된다. 이것이 어신에도 영향을 주게 되고, 챔질에서도 한 박자를 놓쳐 대상어를 걸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이것이 상급자와 초, 중급자와의 차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원줄관리를 3가지로 간략하게 정리하니 숙지하여 자신의 실력을 한 단계 올려보기 바란다.

1. 채비흘림에서의 원줄 관리
흔히 갯바위에서 만나는 조류는 좌우로 흐르는 조류이다. 이 경우 원줄이 조류나 바람의 영향으로 그림 1과 같이 되어 자기 앞으로 다가오게 되어 자신이 노리는 포인트에 채비를 흘리지 못하게 된다.
이경우의 대응책으로는 원줄을 플라이 낚시와 같이 많은 량의 원줄을 풀어주는 방법(초, 중급자에게 권하기 어렵다)과 그림 2와 같이 원줄을 줄넘기처럼 들어 뒤로 돌리는 방법.
조류를 잘 타는 찌와 가는 원줄 사용하는 법이 있다. 여기서 조류를 잘 타는 찌는 크고 중량이 있는 찌를 의미한다. 초, 중급자에게는 원줄을 줄넘기처럼 들어 돌리는 법을 권한다.
이 작은 테크닉 하나의 차이가 조과의 차이를 볼 수 있을 것이다.

2. 입질 시 원줄 관리
그림1과 같이 원줄이 날려 있을 때 입질이 왔다고 한다면 우선 재빨리 릴을 감아서 원줄을 팽팽하게 한 후, 챔질을 하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챔질이 늦어 대상어의 입에 바늘을 꽂지 못하고 헛챔질이 될 확률이 많다. 이 내용도 단순 한 것 같지만 초심자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테크닉이 된다.
3. 뒷줄 견제
이것은 상급자에로의 과제물과 같은 존재이다. 뒷줄견제는 채비의 각도를 임의로 만들어 먹새를 좋게 하는 방법인데 특히 수온이 낮은 시기나 산란 후에는 감성돔이 입질을 잘 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감성돔이 미끼를 물고만 있어 수면 밑으로 찌가 5.cm정도 잠긴 상태로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때는 뒷줄을 잡아주는 견제를 하면 미끼를 물고 늘어지는 경우가 많다.
견제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찾을 수 없지만 밑밥과 미끼의 동조를 임의로 만들어 입질이 쉽게 올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여기서 볼락, 숭어낚시의 끌기와는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견제는 찌를 스무드하게 흘리는 수단이지만, 끌기는 고기에게 미끼를 알리는 수단이 차이이다.
위의 원줄관리의 3가지를 숙지하고 상급자와 같이 동행을 해보면 조과의 차이를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내용은 아주 간단한 것이지만 현장에서 실천하지 않는 회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제 실천을 해 보자....
이상 낙조의 필드 곰돌감시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