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돔낚시 중급이상으로 가는 길...(전층조법을 기준으로)
초, 중급자가 자신의 실력향상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 경험을 투자
해야 하지만, 좋은 스승과 지침이 있다면 좀더 빠른 시간 내에 이것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중급이상으로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먼
저 스승을 모시는 법은 제외하고, 여기서는 지침으로 반드시 알고 있어야할
내용을 정리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릴 찌낚시의 승패는 밑밥 사용에 좌우된다.
·수심, 조류의 흐름, 포인트, 날씨, 잡어의 활성도 등에 따라 배합이 달라져
야 한다.
·밑밥을 던지는 곳은 한곳에 집중시켜라(키포인트는 바닥층의 변화 있는
곳(수중여, 포말, 조류소통이 좋은곳 을 선택할 것)
2. 자신이 측정한 수심에 따라 채비를 하여도 조류, 바람의 영향으로 수심이 바뀌어 간다.
수심측정을 정확히 맞춘 후에도 마리 수의 감성돔이 낚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왜 일까?
이것은 수심이 자연적인 변화에 의해 달라졌기 때문이다. 항상 봉돌의 미
세 조정을 하거나 찌 멈춤 면사의 위치 변경을 조류의 움직임, 바람의 영향
에 따라 해야 한다.
3. 2단 조류를 극복하라
·남해안의 감성돔 포인트들은 바람의 영향에 따라 겉조류가 흘러 소위 2단
조류를 형성하는 곳이 많다. 이런 경우에는 수중찌를 사용하여 속조류에 채
비를 태우는 것이 관건이 되지만 이것도 말처럼 쉽지는 않다. 이 방법 저 방
법을 사용하다 결국에는 찌를 완전히 잠기게 하는 잠길낚시를 하게된다. 이
방법은 전층 잠길 조법이라고도 하여 이 경우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된
다.
·전층 잠길 조법에서는 채비가 대상어의 수심을 반드시 통과하게 된다. 이
론적으로는 100번 채비를 던지면 100마리의 감성돔을 낚을 수 있는 확률을
갖게된다.(감성돔이 부근에 유영하고 있다면 반드시 입질할 것이라는 믿음
을 갖고 집중력을...)
·전층 잠길 조법에서는 찌가 가라앉기 때문에 입질을 원줄의 당김, 또는 초
릿대의 느낌으로 알아야 한다. 따라서 항상 원줄을 주고, 멈추게하는 견제
동작을 반복적으로 해야 한다. 이 견제 동작에 의한 채비와 뿌려진 밑밥이
동조가 되어야만 좋은 조황으로 이어진다.
4. 전층 조법
·전층조법은 감성돔이 입질하는 수심층까지 채비를 천천히 내려가게 하는
즉 채비를 항상 자신이 컨트롤하면서 행하는 낚시이다. 전층 잠길 조법과
는 조금 달리, 찌를 잠기게 하지 않고, 찌에서 밑 채비를 전유동으로 채비를
바닥까지 내려가는 낚시법이다. 찌가 항상 수면에 떠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이 많이 받는 낚시법이라 할 수 있지만 약한 바람, 무풍상태, 조류의 반
대방향의 바람등에 위력을 발휘하는 낚시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실제 낚시
를 하는 모양으로 그림을 그려보자. 채비를 던지고 수중찌(J큐션포함), 좁쌀
봉돌의 무게에 의해 채비가 천천히 내린다. 그때 찌는 포인트 위에 떠 있다.
또는 포인트를 향하여 흘러간다. 이때 밑밥은 찌 부근에 던진다. 한참 흐른
후에도 입질이 없다. 조금 당겨서 다시 흘린다...그리고 밑밥을 던진다. 이것
을 반복한다. 수심이 얕은 곳에서 시도해 보면 위력이 대단하다.
전층조법을 행할 때에 주의해야 하는 것은 밑밥의 침하 속도와 채비의 침
하 속도를 같도록 해야 좋은 조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요는 크릴이 침하 해
가는 속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상대는 자연이라 변화가 따르게 마련이다.
이 변화에 대처하는 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봉돌조절, 원줄선택, 찌
선택등등...) 이 조법은 수심이 6-7m정도의 포인트에서 가장 좋은 낚시법이
라 생각된다.
5. 초원투 조법
·이것은 멀리 떨어진 조류의 흐름, 장해물 주변를 노려 낚는 낚시법이다.
밑밥을 침공시켜야 하니 파우더는 원투용으로 선택하고, 찌는 먼곳의 포인
트에서 겨우 보이도록 잔존부력을 최대한 죽이도록 한다. 채비는 중량감이
있는 1호 정도의 찌를 선택하는 것을 권한다.
이 낚시법은 장소와 조건에 따라서는 대물을 만나게 하는 낚시이기에 한번 시도해 보기 바란다.
이상으로 중급자가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들을 전층조법을 기준으로 정리
했는데, 짧은 내용이지만 여기에는 많은 시간투자와 경험이 집약된 것이다.
사실 중급이하 회원님들이 보면 내용자체가 어려울 수 있으나(전층조법이
무엇인지? 전층 잠길 조법?, 상황에 따른 밑밥술,전층채비와 전층잠길채비
의 다른점 등) , 의문점은 아래 글에 달아 주시면 이 내용들을 모아서 전체
적인 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부력 반유동 잠길낚시의 이해 (0) | 2016.09.21 |
---|---|
전층채비와 반유동채비의 사용시기에 대하여 (0) | 2011.06.07 |
전유동낚시의 약점 극복(그림 작업중) (0) | 2008.09.26 |
전유동 낚시의 바람과 파도의 대책 (0) | 2008.02.20 |
전유동낚시의 자리선택, 조류판별법 (0) | 2008.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