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에돔낚시

수심에 따른 벵에돔낚시법

곰돌감시 2006. 4. 21. 18:19

얕은 수심과 깊은 수심에서의 벵에돔낚시 요령

 

벵에돔낚시는 수온, 날씨, 조류 등으로 벵에돔이 노는 수심 층이 달라진다. 따라서 얕은 수심과 깊은 수심에 따라 낚시 법이 달라져야 한다.

 

1. 얕은 수심에서의 벵에돔 낚시요령

요즘시기는 고기의 활성도가 높은 경우가 많아, 벵에돔이 낚이는 수심은 얕은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얕은 수심의 벵에돔낚시의 요령은 먼저 시작부터 갑자기 밑밥과 미끼를 직접 맞추도록 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즉 밑밥을 던져 찌에 직접 맞추도록 한곳을 노리게 던지는 방법으로 2회-3회 포인트에 집중해서 뿌린다. 이 방법은 처음에는 통한다. 그래서 낚을 수 있다면 이 방법이 정답이 된다. 하지만 유감이지만 언제까지나 이 방법으로 낚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먹새가 약아지게 되면 노리는 포인트를 변경해야 한다.
 단지 포인트를 바꾸는 것으로 다시 잠깐 벵에돔을 낚을 수 있지만, 한참동안 낚이지 않게 되면, 몇 군데 포인트변경을 하면서 낚시를 해 본다. 그래도 입질이 뜸하다면 다음으로 밑밥뿌리는 패턴과 채비를 넣는 포인트를 바꾸어 본다.
 지금까지의 밑밥과 미끼가 동조되는 것을 조금 늦추게 하여 밑밥을 던진 곳보다 조금 앞쪽에 미끼를 던져 넣는다. 밑밥도 지금까지와 같이 한곳에 뿌리는 것이 아니라 조금 흩쳐 뿌리도록 하면 고기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될 것이다.
수심도 처음 벵에돔이 낚인 수심이 2발이라고 한다면 2발 반 정도로 조금 깊게 한다. 밑밥의 효과가 나기 시작하면 조금 먼 곳에서 지금까지 낚은 벵에돔보다 큰 씨알의 벵에돔을 낚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 회원님 얕은 수심에서의 벵에돔 낚시는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 따라 자연과 벵에돔의 변화를 낚는 낚시"라는 것을 기억하길.....
벵에돔의 얕은 수심 낚시에 대하여 목줄찌, 2단찌, 반유동, 스루스루조법등 여러 조법이 있지만, 아래에 찌 밑 수심 4.5m 정도까지 기본 고정채비를 소개하니 참고바랍니다.

 

                          

 

 

2. 깊은 수심에서의 벵에돔 낚시요령

 

해수온도가 높고 벵에돔활성이 높은 시기라고 해도 조류의 움직임이 나쁘면 벵에돔이 노는 수심은 깊어지게 된다. 깊은 수심에서의 벵에돔 낚시는 당연히 얕은 수심에서의 낚시와는 방법이 달라진다.
가장 큰 차이는 밑밥 뿌리는 법과 그 양이다. 갑자기 한곳에 뿌리는 법에서, 깊은 수심에서는 밑밥과 미끼를 처음부터 동조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령이다. 어느 지점에서 밑밥과 미끼가 접근되어야 하는 것을 생각하지 않으면, 도중에 미끼는 잡어들에게 농락 당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밑밥을 뿌리는 법과 채비를 넣는 법이 중요하게 된다. 밑밥은 조류의 흐름으로 뿌리는 곳이 달라지지만, 원칙으로는 노리는 포인트에 채비를 넣고자 하는 곳에서 조금 떨어진 조류 뒷쪽에 넣는 것이다.
밑밥은 그 주변에 광범위하게 2-3주걱 정도 퍼지도록 뿌린다. 그 후에 밑밥의 앞쪽에 채비를 던져 넣는다. 채비를 넣은 후, 대끝으로 찌의 움직임을 약 1분 정도 찌밑의 채비가 조류의 흐름에 동조되도록 붙잡아 준다. 이 1분 정도의 시간과 조작이 이후의 미끼와 채비의 움직임을 좌우하기 때문에 이 조작이 깊은 수심에서의 벵에돔낚시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찌밑 채비가 정렬되면 다음에는 초릿대에서 찌까지의 원줄을 느슨하게 하여 유동채비가 매끄럽게 이동해 가도록 한다. 다음은 그대로 자연스럽게 조류에 동조시켜 흘린다. 그리고 밑밥을 처음 넣은 곳으로 3주걱정도 다시 뿌리고, 채비는 조금 어려울지 모르지만 팽팽하게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흘려야 한다. 그리고 조류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이곳"이다 라고 생각되는 포인트 앞에서 조금 채비를 멈추게 하는 뒷줄 조작을 몇 번 반복해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떤 상황에서도 미끼가 선행되도록 흘리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원줄을 흘리는 작업은 익숙되면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문제는 조류를 보는 눈과 물어 줄만한 조류에 정확하게 채비를 보내어 가는 기술이다. 이것은 현장에서 경험으로 배울 수 밖 에 없다.
우리 회원님들 깊은 수심에서의 벵에돔낚시 조법은 1000조법, 전층조법, 저의 NK조법등 여러조법이 있으나 여기서는 기본이 되는 반유동법을 소개합니다. 참고하시길...

 

                                  

                       

 

                                 낙조의 필드테스트 곰돌감시였습니다

'벵에돔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벵어돔낚시의 채비 대응법  (0) 2006.04.21
완전 띄울 낚시의 장점  (0) 2006.04.21
벵에돔낚시의 포인트 선정과 밑밥 사용술  (0) 2006.04.21
2단찌의 활용  (0) 2006.04.21
나루호도 매듭법  (0) 2006.04.21